[이슈칼럼] AI 보안 표준화 동향, AI 위협 및 취약점 분석 가이드라인 필요성 제기
- AI 위협요소와 취약점 분류
- 영상 시험 데이터에 대한 기만 공격
- 영상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격
- 음성 시험 데이터에 대한 공격
- 음향 신호 행위를 추출하는 공격
- 기타 부채널 공격
- 임베디드 보안시스템에 대한 각종 공격기술 및 방어기술이 국가간 사업스파이 기술로 이슈화
- 하드웨어 트로이 공격을 검출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 활성화
- 집적 회로의 회로를 악의적으로 수정한 것
- 시스템 보안 펜스를 우회하거나 무력화하려는 시도
[이슈칼럼] AI 보안 표준화 동향, AI 위협 및 취약점 분석 가이드라인 필요성 제기
세계 보안 산업계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는 AI관련 국제표준 개정이 현재 진행중이다. SC42 인공지능 소위원회에서 완료된 표준은 20여건이고, 개발 중인 표준을 포함하면 대략 50여건에 이른다. AI
www.boannews.com
챗GPT 단돈 270원에 타락…폭탄제조법 알려주는 ‘범죄스승’ 됐다
- Chat GPT를 미세조정해 손쉽게 가드레일을 탈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발표
- Fine-tuning Aligned Language Models Compromises Safety, Even When Users Do Not Intend To
- LLM의 유해 동작을 제한하는 세이프 가 인프라 파인튜닝
- 퓨샷 러닝을 역으로 악용한 결과
- 적은 데이터만을 가지고 좋은 성능을 뽑아내기 위한 방법론을 다루는 연구 분야
- 처음 마주하는 데이터에 대한 일반화 성능 확보
챗GPT 단돈 270원에 타락…폭탄제조법 알려주는 ‘범죄스승’ 됐다 - 매일경제
프린스턴대·스탠퍼드대 등 공동연구폭탄 제조법 “대답 못한다”던 챗GPT미세 조정만으로 AI 윤리규정 ‘탈옥’“맞춤형 언어모델, 안전문제에 취약”
www.mk.co.kr
MS, 오래된 인증 프로토콜인 NTLM 서서히 없앤다
- NTLM 프로토콜 약화, Kerberos 인증 프로토콜 강화
- Kerberos
- 보안이 보장되지 않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요청을 보내는 유저와 요청을 받는 서버가 서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
- 티켓 서비스나 키 배포 센터를 통한 양방향 핸드셰이크 기반
- 암호화 기술 근간으로 강력하면서 간단한 절차를 가짐
MS, 오래된 인증 프로토콜인 NTLM 서서히 없앤다
보안 외신 해커뉴스에 의하면 MS가 윈도 11에서 NTLM을 서서히 제거해 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대신 커버로스(Kerberos)라는 인증 프로토콜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NTLM과 커버로스는 인증 정보를
www.boannews.com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두 번째 랜섬웨어 공격에 당했나
-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미국 최대 석유 수송 파이프라인을 운영하는 송유관 업체
- 랜섬이디뷔씨 랜섬웨어 그룹이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의 랜섬웨어 공격 성공을 주장
- 2021 이미 랜섬웨어 공격을 당해 미국 광범위한 지역에 에너지 대란 발생
-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은 이러한 주장 부정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두 번째 랜섬웨어 공격에 당했나
보안 외신 핵리드에 의하면 랜섬이디뷔씨(RansomEDVC)라는 랜섬웨어 그룹이 콜로니얼 파이프라인(Colonial Pipeline)이라는 회사를 공격해 5GB의 데이터를 훔쳐내는 데 성공했음을 주장했다고 한다. 각
www.boannews.com
[보안뉴스] ‘브라우저 업데이트’했더니 악성코드 설치... 가짜 업데이트 위협 늘어
- ‘TA569’이라는 공격 그룹이 5년 이상 가짜 브라우저 업데이트를 이용해서 ‘속골리시(SocGholish) 멀웨어’를 배포
- 화면 구성은 동일한 사회공학적 수법에 기반
‘브라우저 업데이트’했더니 악성코드 설치... 가짜 업데이트 위협 늘어
보안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PC의 운영체제·프로그램 업데이트’는 빠지지 않는 항목이다. 이는 업데이트 항목에 포함된 보안패치를 적용하기 위함으로 신종 바이러스에 예방주사를 맞는 것과
www.boannews.com
전 세계 ICS 시스템의 1/3에서 멀웨어 탐지됐다
- 전 세계 산업 제어 시스템의 35%가 멀웨어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확인
- 한국은 ICS 시스템의 31.54%에서 멀웨어가 감지
- 가장 멀웨어가 많이 감지된 곳은 바로 중국 40.55%
- 공격의 종류: 악성 스크립트, 차단된 인터넷 연결 시도, 스파이웨어, 감염된 문서, 랜섬웨어
- 최근 급증한 위협은 멀웨어의 인터넷 연결 시도
- 이미 배포된 스크립트와 트로이 목마, 백도어, 키로거 등이 공격자의 C&C 서버로 접속을 시도해 내부 시스템의 정보 전송과 공격자의 명령 수신 등이 목적
전 세계 ICS 시스템의 1/3에서 멀웨어 탐지됐다
20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 ICS(Industrial Control System, 산업 제어 시스템)의 35.10%가 멀웨어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확인돼 주의가 요구된다. 카스퍼스키랩의 강민석 기술이사는 지난 10월 12~13일
www.boannews.com
정부 “세계 최초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 19일부터 전국 경찰 사용”
- 전화사기 수사지원시스템(이하 수사지원시스템)’에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을 탑재
- 국과수가 해외에서 도입해 사용해온 기존 음성분석 모델보다 77%가량 성능이 향상된 모델
정부 “세계 최초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 19일부터 전국 경찰 사용”
경찰 수사지원시스템에 탑재된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 ⓒ행정...
www.ddaily.co.kr
사건 대응 모의 훈련을 실시할 때 가장 많이 저지르는 실수 6
- 강의 형태의 진행으로 훈련 효율 감소
- 훈련 참가자의 유형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 훈련 내용이 매번 비슷한 경우
- 훈련조로 훈련 코스를 구성할 경우
- 훈련장과 현실이 너무 동떨어져 있을 경우
- 훈련을 통해 너무 많은 것을 이루려 할 경우
사건 대응 모의 훈련을 실시할 때 가장 많이 저지르는 실수 6
보안 사고가 터졌다고 가정하고 실시하는 보안 훈련들이 있다. 가상의 상황을 설정하고, 그에 맞게 조직 구성원들이 각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연습한다. 하지만 대부분 ‘논의’를 위주로
www.boannews.com
관리자 계정 4만 개, admin이라는 비밀번호로 보호되고 있어
- 관리자 계정 4만 개 이상이 매우 기본적인 비밀번호로만 보호되고 있음
- IT 관리자들이 조직의 중요한 자산을 거의 보호하지 않고 있다는 것
- 추측이 쉬운 비밀번호는 공격자를 돕는 장치이지 데이터를 보호하는 장치 X
관리자 계정 4만 개, admin이라는 비밀번호로 보호되고 있어
보안 외신 블리핑컴퓨터에 의하면 관리자 계정 4만 개 이상이 매우 기본적인 비밀번호로만 보호되고 있다고 한다. 대단히 많은 IT 관리자들이 조직의 중요한 자산을 거의 보호하지 않고 있다는
www.boannews.com
오픈소스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카사OS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돼
- 카사OS: 개인 클라우드 오픈 소프트웨어
- 카사OS(CasaOS)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들이 발견
- 성공적으로 익스플로잇 한 경우 공격자는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되며 시스템을 장악하는 것도 가능
오픈소스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카사OS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 패치돼
보안 외신 해커뉴스에 의하면 오픈소스인 카사OS(CasaOS)에서 초고위험도 취약점들이 발견됐다고 한다. CVE-2023-37265와 CVE-2023-37266으로, 둘 다 CVSS 기준 9.8점을 받았을 정도로 위험하다. 성공적으로
www.boannews.com
아무도 몰래 패스키 도입한 아마존, 비밀번호 철폐를 위한 강력한 메시지
- 전자상거래 분야 1위 아마존, 예고 없이 패스키 기능 도입
- 현재, 아마존 모바일 앱들에는 아직 패스키가 지원되지 않고 있음
- 패스키를 국가별로 혹은 최고 수준 도메인별로 따로 설정을 해야 함
- 구글도 패스키를 디폴트 로그인 방식으로 채택할 것이라 발표
- 패스워드리스가 실현될 가능성 증가 → 보안 측면에서 긍정적인 흐름
아무도 몰래 패스키 도입한 아마존, 비밀번호 철폐를 위한 강력한 메시지
아마존이 아무런 예고도 없이 패스키 기능을 도입했다. 아마존에서 쇼핑을 즐기는 사용자들이나 아마존 플랫폼에서 스트리밍을 제공하던 사용자들이나, 이제부터 클라우드 기반 인증 도구인
www.boannews.com
북한의 해킹 조직들, 팀시티 서버의 초고위험도 취약점 해킹
- TeamCity
- JetBrains가 개발한 지속적 통합 서버로 온프레미스 설치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활용
- 빌드가 실행되지 않을 때에도 CI 서버를 정상적이고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
- 북한의 해킹 조직 둘, 팀시티 소프트웨어 개발 구축 플랫폼 익스플로잇
-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을 노린다는 건 공급망 공격을 실시한다는 뜻
- 이번 취약점은 매우 난이도가 낮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패치 적용하는 게 중요
북한의 해킹 조직들, 팀시티 서버의 초고위험도 취약점 해킹
다이아몬드슬릿(Diamond Sleet)과 오닉스슬릿(Onyx Sleet)이라는 이름으로 모니터링 되고 있는 북한 APT 조직들이 현재 CVE-2023-42793이라는 취약점을 활발히 익스플로잇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CVE-202
www.boannews.com
악명 높은 라그나락커, 국제 공조로 공격 인프라 잃어
- 국제 공조 작전으로 악명 높은 라그나로커 랜섬웨어 조직의 공격 인프라 무력화
- 라그나로커: 10개 사회 기반 시설 분야 내 52개 조직을 침해한 조직
악명 높은 라그나락커, 국제 공조로 공격 인프라 잃어
보안 블로그 시큐리티어페어즈에 의하면 국제 공조 작전으로 악명 높은 라그나락커(Ragnar Locker) 랜섬웨어 조직의 공격 인프라가 무력화 됐다고 한다. 미국, 유럽연합,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
www.boannews.com